쉐이더토이(Shadertoy)는 다양한 쉐이더를 제공하는 유명한 사이트입니다. 시리즈를 진행하다보니 쉐이더토이에서 받은 쉐이더를 Three.js에 적용하는 법을 물어보시는 분들이 꽤 있더군요.
하지만 쉐이더토이라고 불리는 데는 이유가 있습니다. 쉐이더토이에 올라온 쉐이더는 정석대로 만들어진 쉐이더가 아닙니다. 드위터(dwitter)(140자 내로 코드를 작성하는 사이트)나 js13kGames(13kb 이하의 게임을 만드는 사이트)처럼 여러 사람이 쉐이더-챌린지를 진행하는 곳이죠.
쉐이더토이의 미션은 주어진 픽셀 위치값으로 무언가 재밌는 것을 렌더링하는 함수를 만드는 것입니다. 재밌는 미션이고 많은 결과물을 보면 대단하다는 소리가 절로 나옵니다. 하지만 초보자가 보고 배우기에 좋은 예제들은 아니죠.
아래의 쉐이더로 도시 전체를 렌더링한 쉐이더토이 예제를 한 번 봅시다.
제 컴퓨터에서 FHD 해상도를 기준으로 약 5 프레임 내외가 나옵니다. 이를 시티즈: 스카이라인(Cities: Skylines) 같은 게임과 비교해보면
같은 컴퓨터에서 30-60 프레임이 나옵니다. 이 게임이 텍스처를 입힌 삼각형을 렌더링하는 등 좀 더 일반적인 기법을 사용했기 때문이죠.
뭐 그렇다고 해도 쉐이더토이의 쉐이더를 Three.js에 한 번 불러와보는 건 나쁘지 않을 겁니다.
아래는 쉐이더토이에서 "New"를 클릭했을 때 나오는 기본 쉐이더입니다(2019년 1월 기준).
// By iq: https://www.shadertoy.com/user/iq // licens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NonCommercial-ShareAlike 3.0 Unported License. void mainImage( out vec4 fragColor, in vec2 fragCoord ) { // Normalized pixel coordinates (from 0 to 1) vec2 uv = fragCoord/iResolution.xy; // Time varying pixel color vec3 col = 0.5 + 0.5*cos(iTime+uv.xyx+vec3(0,2,4)); // Output to screen fragColor = vec4(col,1.0); }
여기서 중요한 건 쉐이더는 GLSL(Graphic Library Shading Language)로 작성한다는 겁니다. GLSL은 3D 수학을 위해 C 언어 기반으로 고안된 상위 언어로, GLSL만의 고유한 타입이 있습니다. 위 코드의 vec4
, vec2
, vec3
이 그런 고유 타입들이죠. vec2
는 값이 2개, vec3
는 3개, vec4
는 4개인데, 이들은 각각 다양한 값으로 사용되지만 x
, y
, z
그리고 w
로 사용하는 게 보통입니다.
vec4 v1 = vec4(1.0, 2.0, 3.0, 4.0); float v2 = v1.x + v1.y; // adds 1.0 + 2.0
GLSL은 자바스크립트와 달리 C나 C++처럼 변수를 선언할 때 해당 타입을 사용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실수(float)를 변수에 담을 때 자바스크립트는 var v = 1.2;
와 같이 쓰지만, GLSL에서는 float v = 1.2;
와 같이 씁니다.
이 글에서 GLSL을 자세히 설명하는 건 주제에 벗어나니 이 글을 읽어보거나 이 시리즈를 정주행해보기 바랍니다.
또한 2019년 1월 기준으로 쉐이더토이는 fragment shaders만 지원합니다. fragment shader는 아까 말한 미션처럼 픽셀의 좌표를 받아 해당 픽셀에 특정 색을 지정하는 역할을 하죠.
위 코드를 보면 mainImage
함수에 fragColor
라는 이름의 out
매개변수가 보일 겁니다. out
은 output
의 줄임말로, 바로 이 매개변수가 색상값을 지정할 변수 합니다.
fragCoord
, in
(input
의 줄임말) 매개변수는 out
의 색상값을 사용할 픽셀의 좌표입니다. 이 픽셀 좌표로 새로운 색상값을 만들 수 있죠. 만약 400x300짜리 캔버스에 이 쉐이더를 적용한다면 이 함수는 400x300번, 그러니까 총 120,000번 호출되는 셈입니다.
코드에 선언부가 없긴 하지만 사용할 수 있는 변수가 2개 더 있습니다. 하나는 캔버스의 해상도를 설정하는 iResolution
으로, 캔버스를 400x300으로 만들려면 iResolution
을 400, 300
으로 설정해야 합니다. 그리고 iResolution
에 의해 픽셀 좌표가 바뀌면 uv
변수는 텍스처 크기의 0.0에서 1.0만큼 위, 옆으로 갑니다. 이렇듯 어떤 값을 정규화(normalize)하는 것이 작업을 간단히 하는 데 도움이 되기에 쉐이더토이의 주 함수는 대개 저런 식으로 시작합니다.
다른 하나는 iTime
으로, 이는 페이지가 로드된 이후의 초 단위 시간값입니다.
쉐이더의 세계에서 이 전역 변수들은 균등(uniform) 변수라고 불립니다. 균등이라고 불리는 이유는 쉐이더 한 루프 안에서는 전혀 변하지 않는 변수이기 때문이죠. 다만 위에서 언급한 변수들은 GLSL의 표준 변수가 아니라 쉐이더토이에서 자체적으로 제공하는 변수입니다.
쉐이더토이 공식 문서에는 몇 가지 변수를 더 언급해 놓았지만, 일단은 위 두 변수를 활용해 예제를 하나 만들어보겠습니다.
먼저 캔버스 전체를 채울 평면을 하나 만듭니다. 배경과 하늘상자 추가하기에서 정육면체를 뺀 예제를 가져오겠습니다. 코드가 길지 않으니 아래에 전부 적도록 하죠.
function main() { const canvas = document.querySelector('#c'); const renderer = new THREE.WebGLRenderer({ canvas }); renderer.autoClearColor = false; const camera = new THREE.OrthographicCamera( -1, // left 1, // right 1, // top -1, // bottom -1, // near, 1, // far ); const scene = new THREE.Scene(); const plane = new THREE.PlaneGeometry(2, 2); const material = new THREE.MeshBasicMaterial({ color: 'red', }); scene.add(new THREE.Mesh(plane, material)); function resizeRendererToDisplaySize(renderer) { const canvas = renderer.domElement; const width = canvas.clientWidth; const height = canvas.clientHeight; const needResize = canvas.width !== width || canvas.height !== height; if (needResize) { renderer.setSize(width, height, false); } return needResize; } function render() { resizeRendererToDisplaySize(renderer); renderer.render(scene, camera); requestAnimationFrame(render); } requestAnimationFrame(render); } main();
배경과 하늘상자 추가하기에서도 설명했지만 위와 같이 OrthographicCamera
를 설정하면 2칸짜리 평면이 캔버스 전체를 채우게 됩니다. 당장은 평면이 빨간 MeshBasicMaterial
을 사용했기에 캔버스 전체가 빨갛게 보입니다.
이제 쉐이더토이에서 쉐이더를 가져와 적용해봅시다.
const fragmentShader = ` #include <common> uniform vec3 iResolution; uniform float iTime; // By iq: https://www.shadertoy.com/user/iq // licens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NonCommercial-ShareAlike 3.0 Unported License. void mainImage( out vec4 fragColor, in vec2 fragCoord ) { // Normalized pixel coordinates (from 0 to 1) vec2 uv = fragCoord/iResolution.xy; // Time varying pixel color vec3 col = 0.5 + 0.5*cos(iTime+uv.xyx+vec3(0,2,4)); // Output to screen fragColor = vec4(col,1.0); } void main() { mainImage(gl_FragColor, gl_FragCoord.xy); } `;
위 코드에서는 아까 설명했던 균등 변수 2개를 선언했습니다. 그런 다음 쉐이더토이에서 만든 GLSL 코드를 복사해 넣었죠. 그리고 하단에서 mainImage
에 gl_FragColor
와 gl_FragCoord.xy
를 넘겨 호출했습니다. 여기서 사용한 gl_FragColor
는 WebGL의 공식 전역 변수로, 쉐이더는 여기에 해당 픽셀의 색상값을 지정해야 합니다. gl_FragCoord
또한 WebGL 공식 전역 변수로, 현재 색상을 적용해야 하는 픽셀의 좌표값을 나타내죠.
다음으로 쉐이더에 데이터를 전달할 전달해야 하니 Three.js 균등 변수를 생성합니다.
const uniforms = { iTime: { value: 0 }, iResolution: { value: new THREE.Vector3() }, };
Three.js의 균등 변수에는 value
속성을 넣어야 합니다. 물론 값으로 들어가는 데이터도 균등 변수의 타입과 맞아야 하죠.
fragment 쉐이더와 균등 변수를 ShaderMaterial
에 넘겨줍니다.
-const material = new THREE.MeshBasicMaterial({ - color: 'red', -}); +const material = new THREE.ShaderMaterial({ + fragmentShader, + uniforms, +});
또한 매 프레임마다 균등 변수의 값을 변경하도록 합니다.
-function render() { +function render(time) { + time *= 0.001; // 초 단위로 변환 resizeRendererToDisplaySize(renderer); + const canvas = renderer.domElement; + uniforms.iResolution.value.set(canvas.width, canvas.height, 1); + uniforms.iTime.value = time; renderer.render(scene, camera); requestAnimationFrame(render); }
참고: 쉐이더토이 공식 문서를 뒤져봤지만
iResolution
가 왜vec3
여야 하는지, 3번째 값은 어디에 쓰이는 건지 알아내지 못했습니다. 일단 예제에서는 쓰지 않는 값이니 1로 설정하고 넘어가야겠네요. ¯\_(ツ)_/¯
쉐이더토이에서 "New"를 클릭했을 때 나왔던 결과와 똑같네요. 물론 2019년 1월 기준으로 말이죠😉. 이 쉐이더는 어떻게 이런 결과를 만들어낸 걸까요?
uv
가 시간에 따라 서서히 0에서 1로 바뀝니다.cos(uv.xyx)
는 입력한 값에 코사인 함수를 적용해 vec3
형식으로 반환합니다. 하나는 uv.x
에, 다른 하나는 uv.y
에, 마지막은 다시 uv.x
에 코사인 함수를 실행한 결과값이죠.cos(iTime+uv.xyx)
이렇게 시간값을 더해 애니메이션을 구현합니다.vec3(0,2,4)
를 더해 cos(iTime+uv.xyx+vec3(0,2,4))
와 같이 하면 코사인 파도가 생깁니다.cos
의 결과값은 -1부터 1까지이므로, 0.5 * 0.5 + cos(...)
을 적용하면 -1 <-> 1, 0.0 <-> 1.0 이런 식으로 바뀝니다.코드를 조금 수정하면 코사인 파도가 더 잘 보일 겁니다. 지금은 uv
의 값이 0부터 1까지죠. 코사인의 주기는 2π이니 uv
에 40.0을 곱해 uv
값이 0부터 40까지 되도록 해보겠습니다. 이러면 화면에 파도가 약 6.3번 반복될 거예요.
-vec3 col = 0.5 + 0.5 * cos(iTime + uv.xyx + vec3(0,2,4)); +vec3 col = 0.5 + 0.5 * cos(iTime + uv.xyx * 40.0 + vec3(0,2,4));
아래 예제를 보니 파도가 약 6개 하고 1/3 정도 보입니다. 파란선 사이에 빨간선이 보이는 건 파란색의 위치를 + vec3(0,2,4)
로 4만큼 옮겼기 때문이죠. 이렇게 하지 않았다면 빨강과 파랑이 완전히 겹쳐 자주색으로 보였을 겁니다.
주어지는 값이 이렇게 단순한데 이걸로 도심 운하, 숲, 달팽이, 버섯 등을 구현하다니 정말 놀랍네요. 다만 삼각형으로 장면을 구성하는 일반적인 방법에 비해 왜 이 방법이 안 좋은지 분명히 하지 않은 게 아쉽습니다. 한 픽셀 한 픽셀 정성들여 픽셀의 색상을 연산하니 그만큼 한 프레임을 만드는 데 시간이 많이 걸릴 수밖에 없죠.
쉐이더토이 쉐이더 중에는 텍스처를 받아서 사용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 By Daedelus: https://www.shadertoy.com/user/Daedelus // licens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NonCommercial-ShareAlike 3.0 Unported License. #define TIMESCALE 0.25 #define TILES 8 #define COLOR 0.7, 1.6, 2.8 void mainImage( out vec4 fragColor, in vec2 fragCoord ) { vec2 uv = fragCoord.xy / iResolution.xy; uv.x *= iResolution.x / iResolution.y; vec4 noise = texture2D(iChannel0, floor(uv * float(TILES)) / float(TILES)); float p = 1.0 - mod(noise.r + noise.g + noise.b + iTime * float(TIMESCALE), 1.0); p = min(max(p * 3.0 - 1.8, 0.1), 2.0); vec2 r = mod(uv * float(TILES), 1.0); r = vec2(pow(r.x - 0.5, 2.0), pow(r.y - 0.5, 2.0)); p *= 1.0 - pow(min(1.0, 12.0 * dot(r, r)), 2.0); fragColor = vec4(COLOR, 1.0) * p; }
쉐이더에 텍스처를 넘겨주는 건 재질(material)에 텍스처를 넘겨주는 것과 비슷하나, 대신 텍스처를 균등 변수에 지정해야 합니다.
먼저 쉐이더에 균등 변수를 추가합니다. 텍스처는 GLSL에서 sampler2D
라고 불립니다.
const fragmentShader = ` #include <common> uniform vec3 iResolution; uniform float iTime; +uniform sampler2D iChannel0; ...
다음으로 이 글에서 했던 것처럼 텍스처를 불러와 균등 변수에 지정합니다.
+const loader = new THREE.TextureLoader(); +const texture = loader.load('resources/images/bayer.png'); +texture.minFilter = THREE.NearestFilter; +texture.magFilter = THREE.NearestFilter; +texture.wrapS = THREE.RepeatWrapping; +texture.wrapT = THREE.RepeatWrapping; const uniforms = { iTime: { value: 0 }, iResolution: { value: new THREE.Vector3() }, + iChannel0: { value: texture }, };
여태까지는 쉐이더토이 사이트에 나와있는 대로 캔버스 전체에 쉐이더를 구현했습니다. 하지만 쉐이더를 사용할 때 꼭 예제 형식에 얽매일 필요는 없겠죠. 쉐이더토이의 작가들은 대부분 fragCoord
와 iResolution
을 사용한다는 것만 기억하면 됩니다. fragCoord
가 꼭 픽셀의 좌표여야할 이유는 없다는 말입니다. 이를 텍스처 좌표로 바꿔 쉐이더를 텍스처처럼 사용할 수도 있죠. 이렇게 쉐이더 함수로 텍스처를 만드는 기법을 절차적 텍스처(procedural texture)라고 합니다.
예제에 이 기법을 적용해봅시다. Three.js에서 텍스처 좌표를 받아 여기에 iResolution
을 곱해 fragCoord
에 넘기는 게 제일 간단할 듯하네요.
먼저 fragment 쉐이더에서 쓸 varying을 추가합니다. varying은 vertex(정점) 쉐이더에서 fragment 쉐이더에 넘겨주는 값으로, 각 정점 사이를 보간한(점진적으로 채운(varied)) 값입니다. Three.js가 텍스처 좌표를 uv
앞에 varying을 이니셜인 v
를 붙여 표시하니 그 이름을 그대로 사용하겠습니다.
... +varying vec2 vUv; void main() { - mainImage(gl_FragColor, gl_FragCoord.xy); + mainImage(gl_FragColor, vUv * iResolution.xy); }
추가로 vertex 쉐이더를 만들어야 합니다. 아래는 가장 간단한 형태의 Three.js vertex 쉐이더로, uv
, projectionMatrix
, modelViewMatrix
, position
등의 변수는 Three.js가 선언해줄 겁니다.
const vertexShader = ` varying vec2 vUv; void main() { vUv = uv; gl_Position = projectionMatrix * modelViewMatrix * vec4( position, 1.0 ); } `;
vertex 쉐이더도 같이 ShaderMaterial
에 넘겨줍니다.
const material = new THREE.ShaderMaterial({ vertexShader, fragmentShader, uniforms, });
텍스처의 크기는 바뀔 일이 없으니 iResolution
균등 변수의 초기값을 미리 설정합니다.
const uniforms = { iTime: { value: 0 }, - iResolution: { value: new THREE.Vector3() }, + iResolution: { value: new THREE.Vector3(1, 1, 1) }, iChannel0: { value: texture }, };
render
함수 안에 있던 코드도 삭제합니다.
-const canvas = renderer.domElement; -uniforms.iResolution.value.set(canvas.width, canvas.height, 1); uniforms.iTime.value = time;
여기에 반응형 디자인에 관한 글에서 카메라와 회전하는 정육면체 3개를 가져왔습니다. 이제 한 번 실행해보죠.
이 글이 Three.js에서 쉐이더토이의 쉐이더를 활용하는 데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누차 말하지만 쉐이더토이의 쉐이더는 실제 사용하기 위해 제작되었다기보다-함수 하나로 모든 요소를 만드는-연습용 챌린지에 가깝습니다. 하지만 그래도 쉐이더토이에 올라온 쉐이더들은 여전히 인상 깊고, 놀랍습니다. 배울 점도 굉장히 많죠.